모두와 나누는 웹개발 노트

share and care with love.

Misc

Google Page Speed로 본 구글, 네이버, 네이트, 다음, 야후, 트위터, 페이스북 성능 비교

mere hope 2011. 6. 21. 19:48
구글 랩스에서 제공하는 Page Speed는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분석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준다. 
여기서 성능을 다시 말하면 웹페이지 구동속도를 말한다. 브라우저에서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웹페이지를 표시하느냐를 가늠하여 100점 만점 점수로 표시해준다.
심심풀이로 자주 가는 웹사이트 몇개를 돌려봤다. 

대상 웹사이트 : 구글 / 네이버 / 미투데이 - 네이버 / 네이트 / 
다음 / 요즘 - 다음 / 야후 / 트위터 / 페이스북 (가나다순, 아래는 점수 순 정렬)

9위. 네이버 69점
 

8위. 미투데이 76점

 
7위. 네이트 81점
 

6위. 요즘 87점
 

5위. 야후 89점
 

4위. 다음 94점
 

3위. 트위터 96점
 

2위.  구글 97점
 

1위. 페이스북 99점


평균 : 87.56점
표준편차 : 9.75

Google Page Speed 성능 비교 결과




국내 대표 포털인 네이버와 다음을 비교하자면, 69점(네이버)과 94점(다음)으로 차이가 크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SNS인 요즘(다음)과 미투데이(네이버)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네이트와 야후는 평균적인 점수를 보인다. 

1위는 무려 99점을 기록한 페이스북!! 그 뒤로 96점인 트위터가 바짝 쫓고 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로그인하지 않으면 첫페이지가 단순한데, URL뒤에 아이디를 붙여 개인 페이지를 테스트해도 점수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웹페이지 성능을 비단 브라우저에서 읽히는 '완성된' 구조(front-end)로만 평가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그 구조가 완성되기까지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컨텐츠를 '조립'하는 과정(back-end)이 성능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부분 하나 낮은 성능을 보인다면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웹사이트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front-end와 back-end 모두를 아울러 고려해야 하겠다.
Google Page Speed의 결과를 가볍게 볼 수 없는 이유가 그것이다.
 


반응형
LIST

'Mi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할 때 듣는 Jazz 추천 #2  (0) 2022.10.06
코딩할 때 듣는 Lofi Jazz 추천 #1  (0) 2021.11.20
Windows 에서 tar.gz 압축파일 만들기  (0) 2017.02.01
서비스 워커(Service Worker) 정체가 뭐니?  (0) 2016.12.05
Lorem Ipsum  (0) 2011.06.10